정의
  • 최적의 치료를 위한 기간인 ‘결정적 시기’ 정신증이 발병하였을 때 뚜렷한 증상이 드러나기 이전의 시기(고위험군)를 포함하여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는 시점부터 최대 5년까지의 시기를 ‘결정적 시기’라고 합니다.
    이 ‘결정적 시기’동안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심한 기능의 손상을 비롯한 후유증이 나타나고 잦은 재발을 경험하며 결국 사회로 복귀해도 다양한 문제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최상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결정적 시기인 조기정신증의 치료적 개입은 중요합니다.
증상
  • 정신증 경고 징후는 아직 명확한 정신증 증상이 아니며 평상시 스트레스를 받으면 나타날 수 있는 증상과 구별하기 쉽지 않습니다. 또한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 하지만 전반적인 기분, 행동, 지각, 사고 인지 기능의 변화로 평소 유지하던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이 지속된다면 가능한 빠르고 정확한 평가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경고 징후
    • 1) 감정의 변화
      • - 우울해한다.
      • - 불안해하며 의심이 많아지고 긴장한다.
      • - 쉽게 짜증을 내고 화를 낸다.
      • - 기분이 쉽게 바뀐다.
    • 2) 생각, 지각의 변화
      • - 집중하고 기억하는 것이 어렵다.
      • - 평소 익숙한 사물, 사람들이 다르게 느껴진다.
      • - 특이하고 모호한 생각들에 빠져있다.
      • - 생각이 너무 빠르거나 느리게 진행되는 것 같다.
      • - 간헐적인 지각의 변화를 경험한다. (소리, 색깔, 냄새 등을 더 강하게 또는 약하게 경험)
      • - 누군가 나를 해치려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 3) 신체, 행동의 변화
      • - 잠을 잘 못자고, 식욕이 없어지거나 반대로 폭식을 한다.
      • - 몸이 여기저기 아프다며 신체증상을 호소한다.
      • - 의욕이 없고 하고자하는 동기가 줄어든다.
      • - 점차 혼자있으려고하고 어울리기를 꺼린다.
      • - 공부나 일을 하는데 전보다 어려워한다.
      • - 내가 마치 다른 사람이 된 것 같다.
치료
  • 1) 심리상담
    • 심리상담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을 전문가와 상담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적인 감정의 문제를 찾아내어 긍정적인 방향으로 삶의 변화를 유도합니다. 상담치료를 통해 문제의 원인과 그것이 지속되어온 배경을 이해하게 되고, 해결을 위한 시도를 할 수 있게 되며, 자신의 잠재력과 가능성에 대한 신뢰를 회복해 나가게 됩니다.
  • 2) 약물치료
    • 약물치료는 정신증 증상을 완화하는데 가장 효과적이고 필수적인 치료방법입니다. 정신증은 여러 위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위험요인은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신경발달의 이상, 뇌기능의 이상, 유전적 요인, 가족과 사회의 영향, 스트레스 등으로 다양합니다. 이 위험요인들 중 한 가지로 인해 발생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3) 지역사회서비스
    • 정신증을 경험하는 당사자에게 기본적으로 정신건강의학과에서의 약물치료가 필요하지만 진료 외 남은 시간동안은 홀로 감당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정적인 생각이 많아지고 증상으로 힘들어하다보면 치료를 포기하거나 약을 제대로 먹지 않는 등 회복에 소홀해질 수 있습니다. 또 증상이 좋아지고 있는지,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지역사회 서비스는 지역사회 내에서의 안정된 생활을 유지해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정신건강전문요원이 일대일 개별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대상자의 욕구 및 상황에 따라 가정방문, 전화상담, 혹은 기관 내소상담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서비스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스트레스 관리 및 정서적 지지
    • 가족교육 및 가족상담
    • 증상 및 약물관리
    • 정신과적 위기개입
    • 개별적인 욕구에 맞는 자원 연계 서비스
    • 개별적인 정신건강교육, 일상생활기술훈련, 사회적응훈련, 여가활용 등
    제공기관 : 지역사회정신보건시설(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사회복귀시설)
  • 4) 집단모임
    • 비슷한 문제를 경험하는 환자들 및 가족들이 함게 공유하는 모임입니다. 모임을 통해 서로간의 정보를 주고받기도 하며 많은 지지를 얻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하기도 하고 필요한 교육을 받기도 하는 등 어려움을 극복해 나갈 수 있는힘을 얻게 됩니다.
  • 5) 정신건강교육
    • 정신건강교육은 자신의 정신건강을 관리하기위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을 통해 본인이나 가족에게 정신질환에 대한 정보, 치료법, 대처방법 등에 관한 실질적인 조언과 지지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교육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단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집단교육의 경우 참가자들은 다른 환자나 가족과 경험을 나누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서울시 정신건강브랜드 ‘블루터치’의 사전승인을 통해 재이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