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조현병이란 사고, 감정, 지각, 행동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걸쳐 광범위한 임상적 이상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 조현이란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는 뜻으로 조현병 환자의 모습이 마치 현악기가 정상적으로 조율되지 못했을 때의 모습처럼 혼란스러운 상태를 보이는 것과 같다는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 조현병은 뇌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뇌 질환, 뇌 장애로 유병률은 인구의 1%로 (100명 중에 1명이 걸릴 수 있는) 비교적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흔한 질병이며 사회 계층이나 교육 수준에 관계없이 발생합니다.
원인
  • 과학의 발달로 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밝혀진 원인은 어느 한 가지 원인이 아닌 생물학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복합적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 생물학적 요인
    • 유전
      • - 가족 혹은 혈연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 조현병에 걸릴 확률이 1% 정도인데 비해, 환자의 1차 직계가족인 경우는 10%정도이며 2차 직계가족의 경우도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발병률이 높습니다.
      • - 또한 쌍둥이연구에서도 한쪽이 조현병에 걸렸을 때 다른 한쪽이 발병 확률은 40-65% 로 보고됩니다.
      • - 이와 같이 유전적 성향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유일한 원인은 아니며 이외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요인이 모두 갖추어야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 뇌 내 생화학적 이상
      • - 신경전달물질은 두뇌 속의 세포들이 서로 소통하고 연결되도록 하는 물질로 조현병에서는 특히, 도파민과 세로토닌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의 불균형을 보입니다.
      • - 조현병 환자들의 두뇌를 건강한 사람들의 두뇌와 비교하였을 때, 경미한 차이가 있는데 뇌 내의 뇌척수액을 담고 있는 뇌실의 크기가 조금 더 크거나 회백질의 위축, 또는 일부 뇌 부위의 대사가 감소되어 있기도 합니다.
      • - 뇌 세포 또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차이는 출생 전에 결정된다고 보고됩니다.
    • 환경적 요인
      • - 환경적 위험에는 소아기 시절의 외상, 대마 흡연, 인종적 소수자 집단, 출생 시 부모의 고령 등이 있습니다.
      • - 또한 많은 연구에서 최하위 사회적 계층에서 조현병 발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 이는 이 계층의 사람들에게 스트레스가 많기 때문이라고 해석하기도 하고 병으로 인해 사회경제적으로 실패하여 낮은 계층으로 이동하는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 - 하지만 위의 위험에 해당된다고 하여 이들에게 조현병이 발생한다고 예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증상
  • 1) 양성증상 (겉으로 보기에는 기괴하고 심각해 보이지만 음성증상에 비하면 약물치료에 의해 비교적 빨리 좋아지는 증상)
    • (1) 환각
      • 다른 사람들은 보거나, 듣거나, 맛보거나, 만지거나, 맡을 수 없는 감각을 생생하게 경험하는 것
      • 잘못 보거나 잘못 듣는 착각과는 달리 아예 없는 소리나 물체를 듣고, 보고, 느끼는 것이 환각
      • 조현병에서는 소리를 듣는 환청이 가장 흔히 나타남
      • 환청의 내용은 매우 다양하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환청에 귀를 기울이고 환청과 대화를 하는 경우도 많아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혼잣말을 중얼거리기도 함
    • (2) 망상
      • 주위의 어떤 말에도 흔들리지 않는 이해할 수 없는 믿음
      • 이 믿음은 과학적 설명이나 근거 제시, 설득으로도 망상을 바로잡기가 어려움
      • 특히, 조현병 환자의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괴이한 경우가 많은데, 다른 사람이 감시를 한다거나 위험에 빠뜨리기 위해 계획적으로 움직인다고 믿는 피해망상을 가장 많이 경험
      • 또한, 망상은 일종의 믿음의 체계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사고, 감정, 행동의 변화가 나타남
    • (3) 사고과정의 장애
      • 조현병 환자는 비논리적인 순서로 생각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음
      • 묻는 말에 엉뚱하게 대답하는 상관성의 결여나 앞뒤 연결이 되지 않고 조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하는 일관성의 결여
    • (4) 그밖에
      • 한 가지 자세만을 계속 유지하는 긴장증적 증상
      • 아주 극단적인 경우 의미가 없는 행위를 반복하거나 반대로 동상처럼 움직이지 않고 반응이 없는 경우
  • 2) 음성증상
    • 정상적인 감정반응이나 행동이 감소하여 둔한 상태가 되고, 사고 내용이 빈곤해지며 의욕 감퇴, 사회적 위축 등을 보이는 현상
    • 일상적인 생활, 상황에 적절한 옷차림, 수면관리, 적절한 식사 예절, 위생상태 등이 어려워짐
치료
  • 1) 약물치료
    • 현재까지 밝혀진 다양한 원인만큼 치료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 그 중 조현병 환자의 재입원을 낮추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약물치료입니다.
    • 약물은 환자의 증상을 경감, 해소시키는 등 양성증상에 특히 효과적이지만 이것이 완전한 치유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 2) 심리사회적 치료
    • 급성기의 증상이 호전된 후, 많은 조현병 환자들은 직업이나 대인관계 등의 어려움을 겪습니다.
    • 이 때, 심리사회적 치료는 그들이 가진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 3) 재활치료
    • 지역사회에서 보다 적극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직업적 훈련을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 교육 및 상담, 의사소통 기술훈련, 사회기술훈련, 가족교육, 기타 재활치료 등이 있습니다.
    • 정신건강증진센터, 사회복귀시설, 낮병원 등의 여러 기관에서 재활치료가 진행 중입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서울시 정신건강브랜드 ‘블루터치’의 사전승인을 통해 재이용하였습니다.